삶을 풍요롭게 하는 교육
- 사회정서역량을 높이는 공감과 소통의 대화
책소개
비폭력대화(NVC)를 활용하여 교사와 학생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전략을 제공하고 교육 시스템의 개혁을 촉구하는 책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기존의 교육을 재해석하고 권위주의적 교육 시스템을 되돌아보며 공감과 협력, 상호 존중을 우선시하는 학교 문화를 제안한다. 또한 처벌과 보상 중심의 시스템을 공감적 소통으로 대체할 것을 강조하면서 비난 대신 근본적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신뢰를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이 책에는 실제 사례와 연습문제가 포함되어 있어 전통적 훈육 방식을 대체하려는 교사에게 유용한 팁을 제공하며, 통제가 아닌 인간적 연결을 중시하는 교육 환경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함으로써 교사뿐만 아니라 교육 행정가, 정책입안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준다. 나아가 학생들의 사회정서역량을 높이고 학급의 공동체 의식을 높여주는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의 기초를 쌓을 수 있다.
“아이들에게는 읽기나 쓰기, 수학의 기본 학습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훨씬 더 필요한 것이 있다. 스스로 생각하는 방법, 자신이 배우는 것에서 의미를 찾아내는 방법, 그리고 함께 일하고 살아가는 방법을 배우 는 것 등이다. 이 책을 통해 교사와 학교 관리자 및 부모들은 대화하는 방식, 교실에서 자율성과 상호 의존성을 발전시키도록 지원하는 학습 환경을 만들어 주는 방식을 배울 것이며, 그에 따라 삶을 풍요롭게 하는 교육을 성장시킬 것이다.”(‘저자 서문’에서)
이 책의 주요 내용
‘교육에서의 비폭력 대화’란 무엇인가. 책의 저자인 로젠버그는 교사, 학생, 학부모 간의 이해와 협력을 증진하는 의사소통의 방법으로서 비폭력대화를 소개한다. 이 접근법은 비난이나 판단을 하지 않고 감정과 욕구를 표현하고, 사람들이 하는 말이나 행동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며, 상대방의 목소리를 공감적으로 듣는 것을 강조한다. 이 책의 전반부는 삶을 풍요롭게 하는 언어로 ‘말하기’를 다루고 후반부에서는 삶을 풍요롭게 하는 언어로 ‘듣기’를 다룬다.
한편 저자는 모든 사람의 필요를 충족시키고 상호 존중을 우선시하는 ‘삶을 풍요롭게 하는 교육’과 권위, 처벌, 경쟁에 의존하는 ‘지배 체제 교육’을 비교한다. 삶을 풍요롭게 하는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두려움이나 외부의 보상이 아닌 호기심과 즐거움이 삶의 동기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반면 ‘지배 체제 교육’은 누가 옳고 그른가를 입증하거나 권위에 복종하기를 가르치는 것, 처벌이나 보상, 죄책감과 수치심이 삶의 동기가 되는 교육을 말한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역할극과 연습문제를 통해 교사는 실행 가능한 전략을 세울 수 있으며 학생의 잠재력을 최대화하거나 교실 공동체를 강화하는 일, 그리고 갈등을 평화롭게 해결하고 학교 내 관계를 개선하는 일의 노하우를 배울 수 있다. 그럼으로써 ‘삶을 풍요롭게 하는 학교’에서 관찰하게 될 것은 다음과 같은 풍경이다.
-교사와 학생이 동료로서 함께 공부하고 상호 합의로 학습 목표를 설정한다.
-교사와 학생이 비폭력대화로 말함으로써 어떻게 행동해야 어느 누구의 욕구도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자신의 욕구를 최대한 충족시킬 수 있을까에 관심을 집중한다.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은 처벌에 대한 두려움이나 보상이 아니라 배우고자 하는 자연스러운 호기심과 열망이다.
-시험은 상이나 벌을 주기 위해 학습 과정이 끝난 후에 보는 것이 아니라, 학습 과정 초기에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본다. 학업 평가에서는 성적을 매기는 대신에 학생들이 무엇을 배웠는지, 즉 학기 초에 갖추지 못했던 어떤 기술과 지식을 학기 말에 익혔는지 기술한다.
-학교 공동체는 학생들이 몇 안 되는 상을 놓고 경쟁하기보다는 더 잘 배울 수 있도록 서로 도와주고 돌보도록 고안된, 상호 의존의 학습 공동체이다.
저자 소개
마셜 로젠버그(Marshall B. Rosenberg 1934~2015)
국제 평화단체인 비폭력대화센터(CNVC)의 설립자이자 교육책 임자. 1934년 미국 오하이오주 캔턴에서 태어나 디트로이트에서 성장했으며, 1961년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임상심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0년대에 미국 연방정부의 재정 지원으로 이루어진 학교 통합 프로젝트에서 중재와 의사소통 방법을 가르치면서 처음으로 비폭력대화 교육을 시작했다. 그가 1984년 설립한 CNVC는 지금까지 400여 명의 국제인증 지도자를 배출하였고, 전 세계 70개국이 넘는 지역에서 교육자, 의료 분야 종사자, 기업 관리자, 변호사, 군인, 수감자, 교정 당국, 경찰, 성직자, 정부 관리, 그리고 수많은 개인과 가족들에게 비폭력대화의 실천을 지원하는 활동을 벌이고 있다. 지은 책으로 『비폭력대화Nonviolent Communication: A Language of Life』, 『갈등의 세상에서 평화를 말하다Speak Peace in A World of Conflict』, 『비폭력대화와 영성Practical Spirituality』 등이 있다.
옮긴이 소개
캐서린 한
이화여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1970년 미국으로 이주했다. 1990년부터 NVC국제인증지도자 팀의 일원으로 마셜 로젠버그와 함께 세계 여러 곳에서 국제심화교육(IIT)을 진행했으며 2006년 한국NVC센터를 설립했다. 현재 NVC 확산을 위한 교육과 지도자 양성에 힘쓰고 있다.
차례
감사의 말
서문_라이앤 아이슬러
저자 서문_마셜 B. 로젠버그
추천사
제1장 삶을 풍요롭게 하는 교육을 위해
들어가며
삶을 풍요롭게 하는 조직
삶을 풍요롭게 하는 교육
변화가 필요한 교육 체계
제2장 삶을 풍요롭게 하는 메시지 표현하기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도덕주의적 판단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가치 판단을 사용하는 수행 평가
비폭력대화의 구성 요소
평가하지 않고 명확하게 관찰하기
느낌을 확인하고 표현하기
느낌을 표현하지 않을 때 생길 수 있는 위험
느낌을 욕구에 연결하기
삶을 더 멋지게 만들어 줄 ‘부탁하기’
부탁과 강요 구별하기
과정이 곧 목표다
우리가 무슨 말을 하건 강요로 들릴 수 있다
제3장 공감으로 듣기
공감
들은 대로 다시 말해 주기
부탁을 귀 기울여 듣기
공감으로 연결하기
사람들이 자신을 표현하는 법을 모르거나
표현하지 않으려 할 때 그들과 공감으로 연결하기
제4장 교사와 학생 사이에 협력 관계 만들기
목표와 평가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에서의 협력
삶을 풍요롭게 만들기 위한 목표들
학생에게는 항상 선택권이 있다
학생이 목표 설정에 참여하는 것에 대한 교사들의 우려
상호 합의로 목표를 설정한 사례
“싫어요!” 뒤에 있는 욕구 듣기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학생이 목표 설정 과정에 참여하는 것에 대한 학생들의 두려움
평가에서의 협력 관계
책임은 “예스!”, 성적은 “노!”
제5장 상호 의존하는 학습 공동체 만들기
세속 윤리
상호 의존하는 학습 공동체 발전시키기
교사는 여행사 직원
혼자 힘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료들
제6장 학교를 탈바꿈시키기
당면한 문제들
지배 체제
갈등 해결
중재
도덕주의적 판단과 진단 피하기
보호를 위해 사용하는 힘
후원 팀 만들기
우리 학교 탈바꿈시키기
부록 스카프넥 자유학교에서 배운다
온라인 서점 :
알라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62227991
교보문고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6275230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45100614
문의 : 02) 3142 -5586 (한국NVC출판사) books@krnvcbooks.com